관심갖기/영화|공연|책
윤리적 소비에서 공정무역마을운동으로
효정._.
2021. 7. 21. 21:39
- 이러한 구매 활동을 윤리적 소비 또는 윤리적 구매 행위라고 부른다. 소비자의 선택이라 할 수 있는 소비를 통해 보다 공정하고 포용적이며 친환경적인 사회구조를 만들어가는 데 실질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.
- 윤리적 소비는 자본주의가 먼저 발달한 선진국에서부터 시작되었다. 이는 기존 소비 활동에 대한 반성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다.
- 대안무역단체들은 개발도상국과 연대한다는 동기를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실천을 연대무역으로 풀어갔다. 여기에는 기존 원조 방식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개발도상국의 생산자와 노동자들이 경제활동을 통해 경제적 자립과 공동체의 발전을 이루어나가야 한다는 접근이 확인된다.
- 공정무역 매출이 늘어나는 것. 소비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전체 공급사슬, 특히 생산자단체의 변화를 만들고 있다.
- 공정무역이 일방적인 원조가 아니라 윤리적 소비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가난한 생산자와 노동자들이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임에 깊이 공감하고 있었다. 그리고 공정무역을 통한 접근이 빈곤 해결의 획기적인 방법이라 생각하고 있었다.